우도 동굴보트 검멀레 가는 이유 및 내돈내산 후기
우도 동굴보트 검멀레
이제 본격적인 여름을 맞이해서 제주도 우도 여행을 가는 분들도 많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번 시간에는 여행객들을 위한 우도 동굴보트 검멀레 이야기를 솔직, 담백하게 전달해드리려고 합니다. 여러분들도 한 번 살펴 보시고 갈지, 말지 결정해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1. 간단한 정보들
우선 우도 동굴보트 검멀레에 가실 분들을 위해 어디로 가야하는지, 그리고 가격은 어느 정도 되는지에 대해서 우선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를 통해 여러분들은 갈지 말지를 결정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위치
가장 먼저 위치에 대해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우도 동굴보트 검멀레를 타는 곳은 '검멀레마을회'라는 곳입니다. 여기에서 티켓을 구매할 수 있고, 이곳의 가격이 가장 저렴하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습니다.
- 위치 : 제주 제주시 우도면 우도해안길 1132
가격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는 역시나, 가격입니다. 우선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저렴합니다. 일반적으로 우도의 다른 동굴보트 등은 30,000원의 금액인데, 이곳은 5,000원이나 저렴한 25,000원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들이 가장 많이 찾습니다.
선착장 위치
우도 동굴보트 검멀레를 타기 위해서는 티켓을 구매한 후 바로 옆에 있는 내리막길을 따라 쭉 걸어가시면 됩니다. 도보로 약 2~3분 정도만 걸어가면 짐을 맡기는 곳과 구명조끼를 빌릴 수 있는 곳이 나오며, 이곳이 바로 선착장입니다. 선착장에 도착한 다음에는 보시는 것처럼 순서를 기다렸다가 보트에 탑승하시면 되겠습니다.
2. 탑승 및 관람 포인트
우도 동굴보트 검멀레까지 가서 탑승을 하게 되면 단순히 보트를 타기만 해서는 제대로 된 관람을 할 수 없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몇 가지 관람 포인트를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를 참고하셔서 여러분들도 꼭 재미있는 추억과 행복한 기억들을 만들어 오시기를 바랍니다.
2-1 스피드한 보트
가장 먼저 말씀드릴 포인트는 바로 보트의 스피드입니다. 굉장히 빠르게 진행하기 때문에 손잡이를 꽉 잡아야할 만큼 빠른 속도를 자랑합니다. 특히, 중간 중간 보트를 이리저리 움직이며 곡예 운전을 하는데 이때는 성인 남성도 웬만해서는 팔이 아플 만큼 손잡이를 꽉 잡아야 할 정도로 빠르고 역동적입니다. 사실 이 부분이 가장 큰 즐길 포인트라 할 수 있겠습니다.
2-2 다양한 동굴 형상들
우도 동굴보트 검멀레를 타고 진행하다 보면 운전사께서 다양한 설명을 해주십니다. 그 중에는 코끼리 측면의 모습이나, 용의 얼굴 등이 포함되어 있으니, 절벽을 보며 다양한 상상을 해볼 수 있습니다.
2-3 낚시하는 사람들
어떻게 갔을까 싶을 정도로 위태위태한 절벽에 간혹 낚시를 즐기는 사람들이 보입니다. 이것 역시 즐길 포인트 중 하나이니 잘 기억해 두시기 바랍니다.
2-4 동굴
이름에 걸맞게 동굴에도 잠깐 들어갑니다. 안쪽이 굉장히 시원하기 때문에 여름에 방문하기 좋으며, 물이 굉장히 맑아서 바닥이 보인다는 착각이 들 정도입니다. 또한 천장 부분에는 빛이 반사되는 부분이 있는데, 보트 운전사분의 설명과 함께 들어 보면 좋습니다.
마치며
결론적으로 우도 동굴보트 검멀레는 꼭 가보면 좋은 우도 여행 코스 중 하나입니다. 게다가 우도 내의 다른 지역에서는 1인당 30,000원 하는 것을, 검멀레해수욕장 근처에 있는 곳에서는 단 25,000원이면 즐길 수 있기 때문에 한 번씩 체험해 보시는 것을 적극 권장드리고 싶습니다.
추가적으로, 우도의 다른 여행 코스, 맛집, 해수욕장 및 카페 등을 알아 보고 싶으시다면 총정리 되어 있는 포스팅을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국내 여행 가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도 카페 추천 뷰가 너무 멋진 밭318 (6) | 2025.07.10 |
---|---|
우도 맛집 내돈내산 현지인들이 주로 찾는 곳 (4) | 2025.07.08 |
제주도 우도 여행 코스 해수욕장, 맛집, 카페까지 총정리 (3) | 2025.07.05 |
우도 땅콩아이스크림 찾는다면 하고수동해수욕장 앞 우도몬딱 (4) | 2025.06.22 |
우도 전기자전거 대여 가격 및 1박 빌리는 방법 (3) | 2025.06.13 |
댓글